삼례 비비정 가는 길에 비비낙안 카페가 있다. 옛 삼례정수장을 활용해서 카페로 변신해 많은 사람의 사랑을 받고 있다. 삼례정수장은 익산 지역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29년 10월 10일 이리상수도 시설 허가를 받았고, 시설 공사는 1931년부터 시작해서 1933년 10월 11일 준공식과 함께 통수식이 진행되었다.(1933년 10월 17일 자 동아일보 기사) 정수장은 1971년 폐쇄되어 가동이 중단되었다가 1975년부터 삼례지역에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재가동되었으나 새로 건설된 삼례양수장을 사용하면서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카페로 이용되고 있다. 지금도 이곳에는 물을 양수해서 저장했던 집수 시설과 정수된 물을 익산지역으로 보내기 위한 송수 시설 일부가 남아 있다. 삼례정수장 아래쪽 비비정 농가 레스토랑에는 붉은색 벽돌로 지은 삼례양수장 건물이 있다. 2005년 등록문화재 제221호로 지정된 중요한 근대문화유산이다. 양수장은 삼례정수장으로 물을 공급하는 시설이었다. 지금도 양수장 안에는 정수장으로 물을 공급할 때 사용했던 펌프들이 남아 있다. 1978년부터 1990년까지 양수장 관사에서 살았던 전희숙(53) 주민은 당시의 상황을 이렇게 기
삼례역에서 금반마을 앞으로 새로운 도로가 만들어지고 있다. 그 도로를 따라 대명아파트 앞 부근까지 가다 보면 길가에 위태롭게 서 있는 시멘트 구조물이 하나 있다. 안에는 석지장이 모셔져 있다. 도로 공사를 하기 전에는 밭 옆 둔덕에 안전하게 앉아 있었는데 공사를 하면서 밭을 밀어내고나니 길 옆 흙더미에 불안하게 얹혀 있게 되었다. 그래도 폐기되자 않고 이렇게라도 남아 있는 것은 석지장의 역사적 가치를 알고 있는 여러 사람의 노력 덕분이었다. 그나마 다행이다. 석지장은 대간선 수로 역사와 관련이 있는 유물이다. 대간선 수로는 고산 어우보에서 시작해서 봉동, 삼례 익산을 거쳐 군산 옥구저수지까지 이어지는 수로이다. 특히 금반마을 앞을 지나는 구간 1.2km를 독주항(㸿走項)이라고 부르는데 이름과 관련해 수로 공사 당시의 일화가 전해진다. “만경강의 숨은 이야기”의 저자 이종진 님이 1930년대 발간된 일본인 후지이 간타로(䕨井寬太郞)의 불이농장 홍보책자인 ‘불이농촌’에서 확인한 내용이다. 1790년경 삼례의 부자 백대석이 야산을 절개해서 수로 공사를 했는데 대단히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는 수작업으로 공사를 해야 하는데 바위가 많이 나와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대아저수지 겨울 풍경을 보고 싶어 대아수목원에 간다. 계절마다 한 번쯤은 가보고 싶은 곳이 있다. 같은 장소라도 계절 변화에 따라 분위기가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느낌이 들기도 하고, 계절 따라 달라지는 모습도 비교해 보고 싶어서다. 대아저수지도 그중 한 곳이다. 대아저수지를 탐하는 방법은 여럿 있다. 차를 타고 드라이브하는 방법도 있고, 전망대에 올라 감상하기도 한다. 최근에 위쪽에 있는 동상저수지 가는 방향 도로 중간에 또 하나의 전망대가 생겨 이쪽 저쪽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저수지 가까이 다가가서 보고 싶을 때는 대아저수지 안에 있는 전주 최씨 묘역이 좋다. 거침없이 탁 트여 있어 대아저수지 풍경이 한눈에 다 들어온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볼 수 있는 곳으로는 운암산과 대아수목원 뒷산이 제격이다. 두 곳 중에서 개인적으로는 대아수목원 뒷산 전망대를 선호한다. 대아수목원은 분재원과 열대식물원이 있어 겨울철 꽃이 그리워지면 찾는 장소인데 이번에는 대아저수지 겨울 풍경을 위에서 내려다보고 싶어 대아수목원을 찾았다. 대아수목원 주차장에서 수목원 안으로 들어가는 다리가 두 개 있다. 언제나 습관처럼 덩굴식물 아치가 있는 다리를 이용한다. 물론 지금은 덩굴식물
요즘은 겨울철에도 눈 보기가 쉽지 않다. 온난화가 실제 우리들 생활 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미이다. 어릴 적 겨울방학이 시작되면 아침마다 마당에 쌓여 있던 눈을 자주 보았던 그 시절과는 사뭇 다른 겨울을 보내고 있다. 눈이 자주 내리면 활동에 제약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눈이 내린 풍경을 가끔씩은 보고 싶어진다. 눈이 언제쯤 내리려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마침 완주에도 눈이 내렸다. 눈이 내린 아침 아름다운 삼례 설경을 찾아 겨울 산책을 나섰다. 첫 번째로 찾은 곳은 삼례문화예술촌이다. 삼례문화예술촌은 접근성이 좋은 장점이 있어 삼례 여행을 할 때 잘 활용하면 좋은 곳이다. 특히 기차역 바로 앞에 있어 기차여행을 즐기는 관광객들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침 시간이라서 그런지 삼례문화예술촌은 조용하다. 겨울 아침 특유의 적막함이 감도는 공간이다. 눈은 내렸지만 살짝 쌓여 있어 그저 설경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눈이 발목까지 쌓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뽀드득하면서 뒤따라오는 소리를 듣고 싶었지만 아쉽지만 그런 기대는 다음으로 미뤄야겠다. 삼례문화예술촌에는 다양한 조형물들이 있다. 그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개구리 조형물이다. 이곳이 개구리들이
완주군이 자랑하는 대둔산 산행은 단풍이 붉게 물드는 계절에 절정을 이룬다.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 단풍이 물든 대둔산의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느껴보는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가을철 대둔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있다. 대둔산 둘레길을 걷는 것이다. 대둔산 둘레길은 대둔산의 아름다움을 먼발치에서 바라보면서 걷는 길인데, 총거리가 3.4km로 부담 없이 편하게 걸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둔산 둘레길 걷기를 케이블카 승강장 바로 아래에 있는 대둔산 산악정보센터 건물 앞에서 시작했다. 방향을 정하는데 건물 앞쪽에 세워놓은 안내도가 도움이 되었다. 처음 가는 길이라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걷는 것이 포인트 찾기가 수월해 보였다. 둘레길로 접어들면 바로 숲길이 시작된다. 숲 사이로 넓은 길이 나 있어 여유 있게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숲길을 지나 계곡물소리가 들릴 즈음에 쉼터가 나온다. 초가지붕을 얹은 쉼터가 정겨워 보였다. 쉼터 아래로 계곡물소리가 숲속의 정적을 뚫고 청아하게 들린다. 시작점에서 500m 거리에 있는 취수정이다. 정자를 지나면 좁은 숲길로 바뀐다. 계곡물소리를 들으며 걷는 운치 있는 길이다. 길가에는 붉은 감이 주렁주렁 달린 감나
마을 골목에는 지나온 역사와 문화가 스며있다. 그래서 골목을 돌아보면 그 마을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삼례읍 구와리 유리마을에 가면 독특한 골목 풍경을 볼 수 있다. 둥글둥글한 강 자갈로 쌓아 올린 돌담이 시선을 압도한다. 1970년대 새마을 운동이 한창일 때 마을 어른들이 손수레로 마을 앞 만경강에서 강 돌을 실어와 손수 만든 담이다. 마을이 현대화되면서 많이 바뀌었지만, 아직도 제 역할을 감당하는 돌담이 남아 있다는 것은 유리마을의 큰 자랑거리이다. 다른 마을의 경우 돌담을 새마을 운동을 하면서 시멘트 블록 담으로 바꾼 경우가 많은데 유리마을은 특이하게 그 시기에 돌담을 쌓았다. 새마을 운동을 통해서 많은 농촌 문화가 사라졌지만 유리마을에서는 새로운 문화유산 하나를 남겼다. 돌담이 만들어지고 50년 세월이 흐르는 동안 잘 지켜온 것은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문제는 바로 지금이다. 노후된 돌담이 무너지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사라지고 있다. 이대로 둔다면 몇 년이 지나면 아름다운 돌담을 더 이상 볼 수 없을지도 모르겠다. 더 사라지기 전에 행정에서 지원해서라도 보호 조치를 해야겠다. 유리마을의 돌담을 잘 지켜서 명품 골목길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그렇게
코스모스길을 가꾼 봉동 구만리 마을 가을이 찾아오면 보고 싶은 것 생각나는 일들이 많다. 코스모스꽃이 활짝 핀 길을 걷고 싶은 것도 그중 하나이다. 코스모스꽃은 귀한 꽃이 아니기 때문에 완주 어느 곳에서나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잠시 손을 놓고 집 밖으로 나와 주변을 걸어보면 분명 코스모스꽃과 마주칠 확률이 높다. 조금 더 오랫동안 코스모스꽃과 눈 맞춤하고 싶다면 봉동읍 구만리 코스모스 길을 걸어보는 것도 좋겠다. 봉동읍 구만리 원구만마을은 만경강변에 기대어 있는 마을이다. 마을 옆으로 만경강 제방이 지나고 있는데, 마을에서는 이 길을 활용해서 코스모스 꽃길을 가꾸었다. 그리고 코스모스꽃이 활짝 피면 강변에서 작은 마을축제도 열었다. 올해는 아쉽게도 코로나19 상황으로 축제는 볼 수 없을 것 같다. 코스모스 꽃길은 봉동교에서 시작해서 원구만마을까지 약 2km 구간에 펼쳐져 있다. 주변 만경강 풍경과 잘 어울려 산책로로 손색이 없다. 고산 쪽에서 흘러온 만경강 물줄기는 봉동읍 상장기공원 앞 멍에방천을 타고 내려와 원구만마을 옆으로 지나간다. 그래서 상시 만경강 맑은 물을 보면서 걸을 수 있는 길이다. 특히 만경강 봉동읍 구간에는 강물을 농업용으로 사용하기 위
경작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꼬리명주나비…. 그러나 현재 멸종위기종이다. 먹이식물인 쥐방울덩굴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만경강 신천습지에는 쥐방울덩굴과 꼬리명주나비가 자생한다. 우리가 지켜야 할 소중한 친구들이다.
▲ 화암사로 오르는 돌계단 입추가 지나서 그런지 아침저녁 불어오는 바람결이 시원하게 느껴진다. 그렇지만 그늘이 없는 곳을 걷는 것은 여전히 부담스럽다. 그래서 시원한 그늘이 있는 곳을 찾게 된다. 그런 장소로는 완주 화암사 숲길도 좋다. 완주 화암사 가는 숲길 입구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다. 화암사는 이곳에서 800여 미터 떨어져 있다. 그다지 멀지 않은 거리이기 때문에 걷기에 전혀 부담이 없다. 주차장에서 화암사로 향하는 길은 두 개로 갈라져 있다. 하나는 차가 다닐 수 있는 정도로 넓은 길이고, 또 하나는 계곡 건너편으로 걷는 좁은 산책로다. 지금 시기에는 좁은 산책로를 따라 걷는 것이 좋겠다. 산책로를 따라 맥문동 꽃이 예쁘게 피어 있다. 천천히 꽃길을 걸으면서 꽃과 대화를 나누어본다. 보랏빛 꽃 색깔이 주변 색과 잘 어울린다. 산책로는 계곡을 건너 계속 이어진다. 계곡을 건너는데 계곡물 소리가 시원하게 전해왔다. 잠시 계곡물에 손을 담가 보기도 하고, 계곡물이 연주하는 음악 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았다. 숲길을 걸으면서 듣게 되는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는 마음을 참 편하게 해준다. 계곡을 지나서도 맥문동 꽃길은 계속된다. 보랏빛이 꼬리를 물고
호남을 수호해 나라를 지킨 웅치전투의 현장을 찾아서 광복절을 맞이해서 완주군에서 기억해야 할 장소가 있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호남을 지켜내고 나라를 구한 전투가 있었던 웅치전적지입니다. 이 전투를 치르면서 많은 장수와 병사들이 전사하는 피해를 입었지만 왜군에도 많은 피해를 주어 왜군을 조선에서 물러가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던 역사적으로 대단히 가치 있는 장소입니다. 그 소중한 교훈을 되새기기 위해 웅치전적비를 찾았습니다. 웅치전적비 가는 길 웅치전적비를 가기 위해서는 순두부로 유명한 완주군 소양면 화심을 지납니다. 화심의 옛 지명은 구진벌이었습니다. 옛 웅치전투와 관련이 있는 지명입니다. 이곳에서 아홉 번 나아갔다가 아홉 번 후퇴한 구진구퇴(九進九退)의 치열한 전투가 있었습니다. 그런 연유로 구진벌이라는 지명이 생겼습니다. 화심을 지나면 진안으로 가는 길이 두 갈래로 나누어집니다. 여기서 오른쪽 옛 모래재로 가는 길을 따라서 가면 신원리 신안마을입니다. 이곳에서 다시 길이 갈라지는데요. 바로 올라가면 모래재로 가는 길이고요. 오른쪽 길은 일제강점기 때 만든 신작로가 지나는 곰티재 가는 길입니다. 곰티재 가는 길을 따라가면 두목마을이 나오고,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