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기가 작아 ‘쇠’부엉이 ‘쇠’는 ‘크기가 작다’의 순우리말로 ‘쇠부엉이는’ ‘작은 부엉이’를 뜻한다. 큰 부엉이는 아니지만 우리나라의 부엉이류 중 쇠부엉이보다 작은 종류가 많기에 왜 ‘쇠’라는 이름이 붙었는지는 의문이다. 어찌 되었든 쇠부엉이는 겨울을 나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는 겨울 철새로 하천 갈대밭이나 개활지와 같이 탁 트인 곳에서 저공 비행하며 쥐를 사냥한다. 올해 만경강 신천습지에는 회포대교에서 하리교까지 총 6마리의 쇠부엉이가 찾아와 겨울을 나고 있다. 신천습지 주변은 갈대나 물억새 군락이 꽉 들어차지 않아 활동하기 편하고, 쥐와 같은 먹잇감도 풍부해 많이 찾아온 것으로 보인다. 신천습지 국가지정번호판 위에 앉아 쉬고 있는 쇠부엉이, 쥐를 잡아 배불리 먹고 나서 쉴 때 자주 애용하는 자리다. 저공 비행하며 쥐를 찾는 쇠부엉이 갈대가 꽉 들어차지 않아 쇠부엉이가 사냥할 공간이 넓은 신천습지 쇠부엉이의 사냥 실력 매나 독수리처럼 부엉이도 맹금류에 속하기 때문에 시각이 좋은데 청각 또한 시각 못지않게 뛰어나다. 부엉이는 고막의 면적이 넓어 작은 소리를 잘 들으며, 귓구멍의 위치가 다른 새들과 달리 비대칭으로 형성되어있어 바스락거리는 쥐의 움직임 소리를
오직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가창오리 에어쇼 겨울이 되면 전 세계 가창오리들이 한국에 모여든다. 모여드는 무리는 평균 30~40만 마리로 이들이 군무를 펼칠 시 엄청난 장관이 펼쳐진다. 이 가창오리의 집단 군무는 전 세계에서 오직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귀한 장면이다. 이처럼 가창오리는 대규모 무리를 이루어 활동하는 군집성이 강한 오리이기 때문에 한곳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먹이가 풍부한 곳을 찾아다니는 특성이 있다. 국내 가창오리 도래지 가창오리의 주식은 ‘벼 낙곡’인데 수십만 마리의 먹이와 잠자리를 감당하려면 강과 저수지, 기름진 평야가 넓게 형성되어야 하는데, 짚을 곤포로 말기 시작하면서 낙곡이 줄어 지금은 철새 먹이 주기 사업이 이루어지는 군산 하굿둑, 순천만, 창원의 주남저수지, 고창의 동림저수지가 주 도래지가 되어 그곳들을 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신천습지에 가창오리 떼 출현!! 가창오리는 정해진 도래지를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겨울철 물이 얼어 먹이가 부족해지면 무리를 나누어 활동한다. 신천습지에 5만에 이르는 가창오리 무리가 찾아온 것도 군산 하굿둑과 만경강 하구의 물이 얼어서 활동하는데 제약이 따랐기 때문이다. 어찌 되었든 가창오리는 커다란 강
작년 비비정 일대 쇠부엉이 도래지가 입소문이 나 새 사진 명소가 되었으나 만경강 일대 쇠부엉이 도래지는 비비정뿐 아니라 김제 거전마을, 군산 수라 갯벌, 익산 목천대교, 전주 조촌동, 삼례 해전습지, 신천습지 등 나열하기에도 입이 아플 정도로 많다. 이처럼 많은 수의 쇠부엉이가 만경강을 찾는 건 하천 변 갈대와 물억새가 안정을 이루고 마을인가 주변으로 넓은 평야가 펼쳐져 먹이원인 쥐가 풍부하기 때문. 마을의 파수꾼 쇠부엉이 만경강 유역 쇠부엉이의 주 휴식처는 의외로 하천이 아닌 마을 가까이 있는 논밭 주변이다. 쇠부엉이가 출현하는 일부 구간들을 2주간 확인해보니 다수의 쇠부엉이가 늘 같은 자리 논두렁에서 휴식을 취한 뒤 오후 3시 이후 하천으로 흩어지는 행동을 보였다. 만경강은 하천 수변 부가 잘 발달한 곳임에도 마을 주변에서 쉬고 있는 것을 볼 때 '거름 자리'의 유무가 핵심일 것으로 판단했는데 아니나 다를까 해당 구역들 모두 잠자리 근처에 음식물을 버리는 거름 자리가 존재했고^^;; 거름 자리엔 쥐들이 꼬이니 그 주변에 쉴 곳을 찾는 건 어찌 보면 너무도 당연한 일이었다. 사람이나 동물이나 배 따시고 쉴 곳이 보장되면 그곳이 집이 되고 보금자리가 된다.
고산천과 소양천이 합류하는 중요한 생태 거점 공간인 신천습지에 귀한 진객 혹고니[천연기념물, 멸종위기1급]가 찾아왔다. 그동안 신천습지를 포함 만경강 일대에서 확인 된 고니류는 큰고니[천연기념물, 멸종위기 2급]와 고니[천연기념물, 멸종위기 1급] 두 종류로 이번 혹고니 발견은 신천습지를 넘어 만경강 일대 최초 기록으로 이곳 신천습지가 지닌 가치가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혹고니는 다른 고니류와 마찬가지로 겨울을 나기 위해 찾아오는 철새로 시베리아에서 찾아오는 큰고니, 고니와 달리 비교적 가까운 거리인 몽골에서 찾아온다. 원랜 강원도 경포호, 화진포호, 송지호, 청초호 등 석호에 매년 규칙적으로 찾아왔으나, 최근에는 20마리 미만의 소수 개체가 시화호, 영종도, 천수만, 낙동강 하구에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신천습지에 찾은 혹고니는 어린 한 개체이지만 이번 방문을 기점으로 매년 정기적으로 찾아오는 신천습지의 마스코트가 되길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