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비정 비비정은 만경 8경 중의 하나인 '제5경 비비낙안'으로 알려진 곳이다. 모래사장이 넓게 펼쳐져 있었던 때 이야기이다.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모래사장이 사라져버리면서 비비낙안 풍경도 함께 지워졌지만 비비정에서 내려다보이는 만경강의 시원함은 여전하다. 비비정 바로 옆 옛 만경강철교 위에 놓인 열차가 비비낙안의 무료함을 달래준다. 열차 카페는 노을 감상하기 좋은 곳이지만 눈이 내리는 날이면 차를 마시며 설경을 감상해도 좋겠다. 비비정 주차장 앞에 있는 호산서원도 눈에 덮였다. 이런 옛 유산이 남아 있다는 것은 고마운 일인데 지난주 안동에서 보았던 도산서원과 비교되었다. 우리 지역에도 그런 서원 하나쯤은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말이다. 삼례 하리 용전마을 삼례 하리 용전마을에는 300년 된 왕버드나무 노거수가 있다. 수령도 대단하지만 수형 또한 아름다운 나무이다. 물을 좋아하는 왕버들나무가 이곳에 살 수 있었던 이유가 있다. 일제강점기인 1925년 ~ 1938년 기간 동안 만경강 직강화 공사가 진행되었는데 그 이전에는 만경강 물길이 두 개로 나누어져 하리를 감싸고 흘렀었다. 소양천은 마을 남쪽으로 흐르고, 고산 방향에서 흘러온 물줄기는 마을 북쪽을 감싸고 흘렀다
완주군에는 이미 잘 알려진 관광자원들이 있지만 지속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다양한 관광 콘텐츠 개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점에 봉동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가 주최하고 로컬콘텐츠연구소가 주관해서 진행한 봉동 로컬투어 프로그램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봉동지역 특성을 잘 살려 관광 콘텐츠로 탄생되었는데요. 그 과정을 소개하면서 향후 활용 방안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봉동 알아보기 로컬콘텐츠연구소에서는 완주지역 특성에 부합하는 투어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봉동 로컬투어 프로그램 개발 교육 과정’을 개설했습니다. 평소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수강생을 모집하고, 봉동의 역사, 생태, 건축 전문가를 초빙해서 강의를 듣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투어 코스를 어떻게 짜는 것이 좋은지 고민해서 답사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습니다. 첫 강의에서는 봉동 역사에 관해서 공부했습니다. 박대길 박사가 들려주는 역사 이야기를 들으며 봉동의 지리적인 특성과 정체성에 관해서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봉동(鳳東)의 지명은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탄생되었습니다. 당시 봉상면(鳳翔面)과 우동면(紆東面), 창덕면 일부, 익산군 우북면 일부가 합해져 봉동이 되었습니
문화도시 완주군에서는 다양한 문화활동 프로그램이 곳곳에서 운영되고 있다. 그중에 ‘완주군 야생화 보테니컬아트’는 (재)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에서 주관하고, 만경강사랑지킴이(회장 손안나)가 진행한 2022년 인문학 연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다. ‘완주군 야생화 보테니컬아트’는 지역의 야생화 명소 답사와 꽃 그림 그리기, 전통 바인딩 기법을 사용한 나만의 책 만들기 등 10주 차로 구성되었다. 완주군의 야생화 명소 첫 시간에는 오리엔테이션이 진행되었다. 강사 소개와 수강생 자기소개, 그림의 기초에 관한 설명도 들었다. 10주간 동안 같은 목적을 가지고 만난다는 것은 수강생 서로가 대단한 인연이다. 두 번째 시간부터는 야생화 명소 답사와 꽃 그림 그리기를 교차로 진행했지만, 내용 편집은 편의상 답사와 그림 그리기로 구분해서 정리했다. 첫 답사지는 동상면 사봉리에 있는 만경강의 발원지 밤샘이다. 마침 밤샘 가는 길에 뻐꾹나리꽃이 피는 시기라서 이곳이 첫 답사지로 선정되었다. 밤티마을에서 밤샘까지는 약 2km 정도로 숲길을 따라 조용히 산책하며 물소리,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숲길을 걷는 것만으로도 행복한데 예쁜 꽃까지 피어있으니 더는 바랄 것이 없을…
토요일 오후 빗방울이 하나 둘 떨어진다. 일기예보에는 저녁부터 비가 내린다고는 했지만 하늘이 잔뜩 흐려져 있어 불안감을 감출 수 없다. 오후 5시부터 완주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시민단체인 만경강사랑지킴이가 주관하는 만경강 야행 두 번째 행사에 참석하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가 조금 일찍 내릴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면서 우산과 우비까지 챙겨 만경강 야행 집결지인 삼례 비비정으로 향했다. 익산천 합수부 집결지가 삼례 비비정이었지만 오늘 걷기의 목적지이기도 했다. 집결지에서 인원 파악을 마치고 참가자들은 만경강사랑지킴이 회원들이 준비한 승용차를 타고 익산시 춘포에 있는 익산천 합수 지점 전망대로 이동했다. 출발에 앞서 만경강사랑지킴이 손안나 회장으로부터 만경강에 관련된 설명을 들었다. 만경강사랑지킴이는 만경강을 완주 답사하면서 8개 걷기 코스를 만들었다. 단기간에 걷는다면 2박 3일 정도면 완주할 수 있는 거리이지만 8개 코스로 나누어 여유를 가지고 유연하게 운용할 수 있겠다. 만경강사랑지킴이는 앞으로 8개 코스를 정기적으로 답사활동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만경강을 걸으며 유심히 보아야 할 부분이 있다. 예부터 만경 8경으로 알려진 곳이다. 1경 만경낙조, 2
봄꽃이 몇 번 피고 지기를 반복하더니 금새 계절이 바뀌었다. 봄철에는 산과 들 구분하지 않고 마음 내키는 대로 걸었는데 여름에는 아무래도 장소 선택을 하면서 신경이 쓰인다. 그렇다면 지금 시기에 걷기 좋은 곳은 어디가 있을까? 완주군은 산세가 좋아 발 닿는 곳이 다 걷기에 무난하겠지만 그중에 봉실산 둘레길도 괜찮은 곳이라고 생각한다. 둘레길 산책을 하면서 가벼운 등산도 함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봉실산 봉실산은 완주군 봉동읍과 비봉면에 걸쳐있는 산이다. 해발 374m로 높지 않은 산이지만 평지에 노출되어 있는 덕분에 제법 큰 산같이 느껴진다. 봉실산 둘레길을 갈 수 있는 코스가 많지만, 주로 완주과학단지에서 가까운 봉실산 둘레길 주차장이나 학림사를 많이 이용한다. 이번 봉실산 둘레길 걷기는 완주과학단지 가까운 봉실산 둘레길 주차장에서 시작했다. 주차장에서 둘레길을 따라 조금만 가면 둘레길과 등산로를 알리는 표지판이 있다. 표지판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올라가다가 RC(Radio Contol, 무선조종) Car 동호회를 만났다. 봉실산은 단순한 둘레길과 등산 코스로 만 알았는데 무선조종 차를 가지고도 다니는 코스였다. 봉실산 둘레길 조금 더 오르면 옥녀봉으로…
계절마다 한 번쯤은 가보고 싶은 곳이 있다. 같은 장소라도 계절 변화에 따라 분위기가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느낌이 들기도 하고, 계절 따라 달라지는 모습도 비교해 보고 싶어서다. 대아저수지도 그중 한 곳이다. 대아저수지를 탐하는 방법은 여럿 있다. 차를 타고 드라이브하는 방법도 있고, 전망대에 올라 감상하기도 한다. 최근에 위쪽에 있는 동상저수지 가는 방향 도로 중간에 또 하나의 전망대가 생겨 이쪽 저쪽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저수지 가까이 다가가서 보고 싶을 때는 대아저수지 안에 있는 전주 최씨 묘역이 좋다. 거침없이 탁 트여 있어 대아저수지 풍경이 한눈에 다 들어온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볼 수 있는 곳으로는 운암산과 대아수목원 뒷산이 제격이다. 두 곳 중에서 개인적으로는 대아수목원 뒷산 전망대를 선호한다. 대아수목원은 분재원과 열대식물원, 정원이 아름답게 가꾸어져 있어 언제 찾아도 꽃과 나무를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뜻한 봄날 금낭화꽃도 보고, 대아저수지 봄 풍경을 탐하기 위해 대아수목원을 찾았다. 대아수목원은 입구부터 진한 봄 향기를 뿌린다. 벚나무의 푸르름과 철쭉꽃 붉은빛이 잘 어울린다. 이 시기 대아수목원은 입구부터 정원 주변까지 온
곳곳에서 꽃 소식이 전해지고 살랑살랑 불어오는 봄바람이 마을을 설레게 한다. 어딘가로 떠나도 좋을 분위기이다. 요즘은 아무래도 비대면으로 활동할 수 있는 곳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생각한 곳이 소양면에 있는 소양문화생태숲이다. 조용히 산책을 하면서 오롯이 봄의 향기를 느껴보고 싶었다. 제방 위에 심어진 오성제 소나무 소양면 소재지에서 송광사를 지나 위봉산성 방향으로 가다 보면 오성한옥마을이 나온다. 소양문화생태숲은 오성한옥마을 오성제 주변에 조성되었다. 종남산(608.3m)에서 흘러내려온 산자락의 자연스러움과 인공 조림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숲이다. 오성한옥마을 이름은 오성제 주변의 오도재(五道峙) 마을과 위봉산성 아래 계곡을 따라 들어선 외성리(外城里)마을이 합해지면서 마을 이름 한자씩을 따서 지었다. 마을 입구에 보이는 마을이 옛 외성마을이고, 왼쪽으로 들어가면 오성제가 나오는데 오성제 주변 마을이 옛 오도재마을이다. 소양문화생태숲 걷기는 오성제 제방 입구에서 시작된다. 제방에 들어서면 소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저수지 제방과 나무는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다. 나무뿌리를 통해 저수지 물이 빠져나갈 위험성이 있어 저수지 제방에 나무를 심는 것은 피
대아저수지 겨울 풍경을 보고 싶어 대아수목원에 간다. 계절마다 한 번쯤은 가보고 싶은 곳이 있다. 같은 장소라도 계절 변화에 따라 분위기가 다르기 때문에 새로운 느낌이 들기도 하고, 계절 따라 달라지는 모습도 비교해 보고 싶어서다. 대아저수지도 그중 한 곳이다. 대아저수지를 탐하는 방법은 여럿 있다. 차를 타고 드라이브하는 방법도 있고, 전망대에 올라 감상하기도 한다. 최근에 위쪽에 있는 동상저수지 가는 방향 도로 중간에 또 하나의 전망대가 생겨 이쪽 저쪽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저수지 가까이 다가가서 보고 싶을 때는 대아저수지 안에 있는 전주 최씨 묘역이 좋다. 거침없이 탁 트여 있어 대아저수지 풍경이 한눈에 다 들어온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볼 수 있는 곳으로는 운암산과 대아수목원 뒷산이 제격이다. 두 곳 중에서 개인적으로는 대아수목원 뒷산 전망대를 선호한다. 대아수목원은 분재원과 열대식물원이 있어 겨울철 꽃이 그리워지면 찾는 장소인데 이번에는 대아저수지 겨울 풍경을 위에서 내려다보고 싶어 대아수목원을 찾았다. 대아수목원 주차장에서 수목원 안으로 들어가는 다리가 두 개 있다. 언제나 습관처럼 덩굴식물 아치가 있는 다리를 이용한다. 물론 지금은 덩굴식물
요즘은 겨울철에도 눈 보기가 쉽지 않다. 온난화가 실제 우리들 생활 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미이다. 어릴 적 겨울방학이 시작되면 아침마다 마당에 쌓여 있던 눈을 자주 보았던 그 시절과는 사뭇 다른 겨울을 보내고 있다. 눈이 자주 내리면 활동에 제약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눈이 내린 풍경을 가끔씩은 보고 싶어진다. 눈이 언제쯤 내리려나 기다리고 있었는데 마침 완주에도 눈이 내렸다. 눈이 내린 아침 아름다운 삼례 설경을 찾아 겨울 산책을 나섰다. 첫 번째로 찾은 곳은 삼례문화예술촌이다. 삼례문화예술촌은 접근성이 좋은 장점이 있어 삼례 여행을 할 때 잘 활용하면 좋은 곳이다. 특히 기차역 바로 앞에 있어 기차여행을 즐기는 관광객들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아침 시간이라서 그런지 삼례문화예술촌은 조용하다. 겨울 아침 특유의 적막함이 감도는 공간이다. 눈은 내렸지만 살짝 쌓여 있어 그저 설경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눈이 발목까지 쌓여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뽀드득하면서 뒤따라오는 소리를 듣고 싶었지만 아쉽지만 그런 기대는 다음으로 미뤄야겠다. 삼례문화예술촌에는 다양한 조형물들이 있다. 그중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개구리 조형물이다. 이곳이 개구리들이…
완주군이 자랑하는 대둔산 산행은 단풍이 붉게 물드는 계절에 절정을 이룬다. 최대한 가까이 다가가 단풍이 물든 대둔산의 아름다움을 생생하게 느껴보는 매력이 있기 때문이다. 가을철 대둔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하는 또 하나의 방법이 있다. 대둔산 둘레길을 걷는 것이다. 대둔산 둘레길은 대둔산의 아름다움을 먼발치에서 바라보면서 걷는 길인데, 총거리가 3.4km로 부담 없이 편하게 걸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둔산 둘레길 걷기를 케이블카 승강장 바로 아래에 있는 대둔산 산악정보센터 건물 앞에서 시작했다. 방향을 정하는데 건물 앞쪽에 세워놓은 안내도가 도움이 되었다. 처음 가는 길이라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걷는 것이 포인트 찾기가 수월해 보였다. 둘레길로 접어들면 바로 숲길이 시작된다. 숲 사이로 넓은 길이 나 있어 여유 있게 걸을 수 있는 길이다. 숲길을 지나 계곡물소리가 들릴 즈음에 쉼터가 나온다. 초가지붕을 얹은 쉼터가 정겨워 보였다. 쉼터 아래로 계곡물소리가 숲속의 정적을 뚫고 청아하게 들린다. 시작점에서 500m 거리에 있는 취수정이다. 정자를 지나면 좁은 숲길로 바뀐다. 계곡물소리를 들으며 걷는 운치 있는 길이다. 길가에는 붉은 감이 주렁주렁 달린 감나